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75

역 이름으로 본 썰렁 유머 유머는 언제 들어도 즐겁습니다. 물론 썰렁해서 참을 수 없는 소름(?) 돋는 유머가 있기도 하지만요..^^ 그래도 오늘 하루 잠시나마 쉬어가고 웃고 갈 수 있다면 즐겁지 않을까요? 오늘의 유머는 역 이름으로 보는 썰렁 유머입니다. 가끔은 재치 있다는 역이름 들도 있으니 쭈욱~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친구따라 가는 - 강남역 ▶ 가장 싸게 지은 - 일원역 ​▶ 양력 설을 쇠는 - 신정역 ▶ 숙녀가 좋아하는 - 신사역 ​▶ 불장난하다 사고 친 - 방화역 ▶ 역 3개가 함께 있는 - 역삼역 ​▶ 실수로 자주 내리는 - 오류역 ▶ 서울에서 가장 긴 - 길음역 ​▶ 일이 산더미처럼 쌓인 - 일산역 ▶ 이산가족의 꿈을 이룬 - 상봉역 ​▶ 23.5도 기울어져 있는 - 지축역 ▶ 어떤 여자라도 환영하는.. 2023. 7. 25.
(인물) 전라남도사회복지협의회 제9대 회장 박민서 [성명] 박 민 서 (朴 旻 緖) [출생일자] 1957년 11월 23일 [소속기관] 전라남도사회복지협의회 [임기] 2023.3.13 ~ 2026.3.12(3년) [주요 학력] 1985~1993 동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1980~1983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1975~1980 동국대학교 행정학 학사 1972~1975 목포고등학교 [주요 경력] 전) 국립목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전) 국립목포대학교 총장 전) 민선 8기 전남도지사 공약위원회 공동위원장 전)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 이사장 전)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이사 전) 신안복지재단 이사장 전) EBS 한국교육방송 나눔 0700 운영위원장 현) 전남청렴사회민관협의회 공동위원장, 현) (재)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 이사장 [수상내역] 2008. .. 2023. 7. 24.
말의 차이_극_과_극 90) 여위다와 여의다의 차이 여위다 여의다 * 여위다 : 살이 빠져서 수척해지거나 파리하게 되다 예) 한번 크게 아프더니 부쩍 여위어 보인다. * 여의다 : 일찍 사별하는 일을 겪다 예) 어머니는 일찍 남편을 여의고 자식 셋을 홀로 키우셨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7. 23.
빵 터지는 짧은 유머 모음 빡빡한 삶에 웃을 일이 별로 없으시죠? 이럴땐 뭔가 낙(樂)을 찾아 떠나야 하는데 이럴땐 돈이 없죠-_- 그냥 빵 터지는 짧은 유머에 오늘 하루의 근심 걱정 털어버리시고 편안하고 즐거운 하루로 마무리 해 보세요. * 다소 썰렁한 유머가 있음에 주의 바랍니다. 빵 터지는 짧은 유머 모음 2023.01.05 - [즐거울꺼리(게임,유머)] - (유머) 배꼽 빠지는 베스트 최신 유머 모음 2023.05.17 - [즐거울꺼리(게임,유머)] - 초등학생들의 재미있는 창작 시 모음 1. [좀 더 개기지] 할머니가 버스를 탔어요. 마침 할머니가 서 있는 자리 앞좌석에 학생이 앉아있었죠. 그런데 학생은 지그시 눈을 감더니 이내 조는척을 하기 시작해요. 그러다가 내려야 할 곳이 다 되었는지, 잠에서 깬 척하고 내리는 학생.. 2023. 7. 22.
mbc 창작동요제, 개요 및 대상 수상작, 사회자 현황, 숫자로 보는 동요제 동요 좋아하세요? 알고 계시는 동요 있으세요? 우리 모두의 귓가에 맑고 좋은 소리로 남겨져 있는 동요들~ 그럼 동요란 무엇일까요? 동요(童謠)-어린아이들의 감정이나 생각을 담아서 표현한 문학 장르의 하나(출처 : 다음백과) 예전부터 전래되어 오던 전래동요, 구전동요 등 많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창작동요 또한 많이 있습니다. 이는 창작동요제라는 행사를 통해 새로운 동요를 발굴하고 널리 알리는 것을 계기로 널리 불려지게 된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지금도 '새싹들이다', '노을' 등은 오래된 동요임에도 아름다운 동요로 많이 불려지고 있습니다. 그럼 창작동요제 중에서도 mbc 창작동요제는 언제 개최되었고 어떤 노래들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는지 쭈욱~ 살펴보겠습니다. 시작합니다.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20.. 2023. 7. 21.
말의 차이_극_과_극 89) 텃새와 텃세의 차이 텃새 텃세 * 텃새 : 일년 동안 거의 한 지역에서만 살면서 번식하는 새 예) 우리나라의 텃새는 참새, 까치, 까마귀 등이 있다. * 텃세 : 먼저 자리잡은 사람이 뒤에 오는 사람을 업신여기며 위세를 떨거나 괴롭힘 예) 그 마을은 텃세가 심해서 타지 사람은 쉽게 발을 들이지 못한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7. 20.
(오타) 추지현은 누구인가? #추자현찾기 7.18일자 모 기사에서 발견한 내용입니다. SBS 동상이몽2-너는 내 운명 프로그램에서 4년만에 모습을 드러낸 추자현과 우효광의 모습 300회 특집으로 방영된 방송에서는 제1회부터 출연해 빼놓을 수 없는 아이콘이 되어버린 추자현과 우효광에 대한 다정한 모습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잘 소개해주신 기사의 제목에서 순간의 실수(?)로 이름이 바뀌어버린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추자현' 을 '추지현' 으로 잘못 표기한것이었습니다. 물론 실수할 수 있죠. 하지만 큼직한 글씨의 제목이다보니 너무 눈에 띄어 이렇게 적어봅니다. 늘~ 변함없는 두분의 사랑을 응원하며 기사를 쓰신 기자분께도 수고하셨다는 말씀 드립니다.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2023. 7. 19.
시각장애인의 이해(정의, 판정기준, 등급기준, 유발질환)와 예방법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우리나라 말 중에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눈이 우리 몸중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중요하다는 의미인거죠.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시각장애인이 250,767명(보건복지부, 2022.12.31 기준)이나 계시다는걸 알고 계세요? 전국의 등록장애인이 2,652,860명인데 그중 시각장애인이 250,767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9.45%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그렇다면 시각장애란 무엇이고 어떻게 발생하게 되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시각장애 등급을 판정하는 기준은 어떤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알립니다.] 본 자료는 과거자료로 최근의 시각장애인 기준에는 부합되지 않는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자료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음을.. 2023. 7. 18.
말의 차이_극_과_극 88) 작다와 적다의 차이 작다 적다 * 작다 : 부피, 넓이 따위가 일정한 기준이나 보통보다 덜한 상태에 있다 예) 철수는 키가 작아 맨 앞자리에 앉았다. * 적다 :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예) 칼로리가 적은 음식은 살이 덜 쪄서 부담이 없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7. 17.
제헌절의 역사와 의미, 국경일과 공휴일 2023년 7월 17일은 제75주년 제헌절입니다. 제헌절은 말 그대로 헌법을 제정한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또한, 제헌절은 우리나라 5대 국경일 중 하나인데 국경일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법으로 정해둔 날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법에서 국경일은 삼일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의 다섯 개로 정하고 있습니다. '공휴일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경일 중에서 공휴일이 아닌 날은 제헌절이 유일한데 원래는 공휴일이었다가 주 5일제 근무 등으로 근로시간 감축 우려가 높아지자 2007년을 끝으로 공휴일이 아닌 국경일이 되었다고 합니다. ■ 제헌절(制憲節, Constitution Day)이란? º 1948년 7월 17일.. 2023. 7. 16.
차사고 예방은 1234캠페인과 함께! #행정안전부 #한문철TV 안전, 사고예방 무단횡단 NO, 불법주차 NO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특히, 어린이들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은 한순간도 놓칠 수 없는 소중함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안전생활을 강조하기 위한 정부의 안전캠페인을 소개하고자 하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자라나는 새싹들의 안전생활에 더욱 신경써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우리 어른들도 운전하거나 주차할땐 다시 한번 주변을 살피는 1초, 2초, 3초의 여유를 가져보면 어떨까요? 꼭 지켜주세요! 나의 안전생활이 국민의 건강과 웃음을 지켜줍니다. 무단횡단과 불법주정차 주의! 차사고 예방은 1234캠페인과 함께! 일, 일단 멈추고 이, 이쪽 저쪽을 삼, 삼 초 동안 살펴서 사, 사고를 예방해요 무단횡단을 하지 말고 이쪽저쪽 삼 초 동안! 불법주차에 가려 .. 2023. 7. 15.
말의 차이_극_과_극 87) 부수다와 부시다의 차이 부수다 부시다 * 부수다 : 1. 두드리거나 깨뜨려 못 쓰게 만들다 2. ‘붓다’의 방언 예) 1. 홧김에 텔레비전을 부수고 나중에 후회한다. * 부시다 : 1. '부수다'의 비표준어 2. 빛살이 세거나 빛깔이 강렬하여 마주 바라보기가 어렵다 예) 2. 5월의 신부는 눈이 부시게 아름다웠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