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75 우리말의 올바른 기준을 담은 <표준어 규정> 의 이해와 활용 우리말에는 다양한 의미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말뜻이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취지에 있었는지는 몰라도 상당부분 헷갈리는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말의차이 극과극" 시리즈를 3일에 한번꼴로 안내하면서 이런 표준화된 내용이 있지 않을까? 해서 국어사전이 아닌 다른 자료를 찾아보니 "표준어 규정" 이란것이 검색되었지요! 1988년 문교부(지금의 교육부)에서 제정하고 현재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부처로 운영관리하는 규정이었습니다. 인터넷 어디에도 명확한 자료가 없는것 같아 오늘은 이 규정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동 규정 제1장(총칙), 제1항에는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정의되어 있으며, 제2항에는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고 명시되어 있는.. 2023. 1. 14. 내게 힘이 되어주는 친구, 우리나라 전통주 알아보기 #소주 #탁주 즐거울때, 힘들때, 슬플때, 반가울때 나에게 힘이 되어주는 소중한 친구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친구외에도 힘이 되어주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술이죠! 우리는 이러저러한 이유로 술을 먹게 됩니다. 그렇다면 전 세계에서 1인당 술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인당 술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 TOP 10 1위) 세이셸 – 20.50 리터 2위) 우간다 – 15.09 리터 3위) 체코 – 14.45 리터 4위) 리투아니아 – 13.22 리터 5위) 룩셈부르크 – 12.94 리터 6위) 독일 – 12.91 리터 7위) 아일랜드 – 12.88 리터 8위) 라트비아 – 12.77 리터 9위) 스페인 – 12.72 리터 10위) 불가리아 – 12.65 리터 (출처 : 소믈리에타임.. 2023. 1. 13. 말의 차이_극_과_극 26) 자장면과 짜장면의 차이 자장면 VS 짜장면 * 자장면(炸醬麵) : 중국요리의 하나. 고기와 채소를 넣어 볶은 중국 된장에 국수를 비벼 먹는다. 예) 나는 항상 자장면 곱빼기만 먹는다. * 짜장면(炸醬麵) : ‘짜장면’은 본래 ‘자장면’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자장면’과 동일한 뜻으로 널리 쓰이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표준어로 인정함 예) 어릴 적 짜장면은 최고의 음식이었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 12. 테라, 엑사? 디지털 데이터의 단위(표현방식) 디지털 ICT강국인 대한민국에서 참 많이 들려오는 이름인데 막상 뭐냐고 물으면 설명할 방법이 떠오르지 않는게 현실입니다. 물리학백과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디지털(Digital)이란 연속된 값을 사용하는 아날로그에 반하여 띄엄띄엄 떨어진 값을 사용하여 정보를 가공하고 구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자판으로 입력한 글자, 전등스위치의 켜고 끔, 엘리베이터가 멈출 아파트의 층수 등은 그 현상을 나타내는 수가 띄엄띄엄 떨어져 있다. 이와 값이 띄엄띄엄 떨어진 숫자로 어떤 정보를 설명해야 할 때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반해 자동차 엔진 소리의 크기, 컴퓨터를 가동시키는 전류의 크기, 전등의 밝기, 엘리베이터의 속도 등은 연속적으로 그 값이 변한다. 이 값을 있는 그대로.. 2023. 1. 11. 210Mbps보다 빠른 32Mbps가 맞나? 대한민국은 오래전부터 빨리, 빨리가 익숙한 나라입니다. 그래서 기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터넷 속도도 빠르게 빠르게 발전했다고 합니다. 이로인해, ICT 산업은 상당히 빠르게 발전해온게 사실이며 우리나라 인터넷 속도는 늘 세계 1위를 지키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인터넷속도가 조금씩도 아닌 급격하게 뚝뚝 떨어지고 있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간한 "2022년 국가지능정보화 백서" 를 보면 2022년 8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인 '스피드 테스트' 의 다운로드 속도 조사결과 우리나라는 210.7Mbps로 세계 19위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11월에는 171.12Mbps로 34위로 집계되었는데 불과 3개월여만에 세계순위가 15위나 하락것입니다. (기사내용 발췌) (2019.. 2023. 1. 10. 말의 차이_극_과_극 25) 곶감과 꽂감의 차이 곶감 VS 꽂감 * 곶감(乾柹) : 껍질을 벗겨서 꼬챙이에 꿰어 말린 감 예) 우리나라는 상주 곶감이 으뜸이야 * 꽂감 : 곶감의 비표준어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 9. 개인정보의 정의와 종류 이해하기! #보이스피싱예방 개인정보보호!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혹시 피싱문자, 피싱전화(보이스피싱) 받아 보신적 있으세요? 아마, 한번도 없는분은 안계실거고 받았지만 그냥 지웠다. 또는 그냥 끊었다 라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2021년 개봉되어 크게 히트하지는 못했지만 나름의 경각심을 일깨워주었던 영화 "보이스" 변요한, 김무열, 김희원 등이 출연하여 단 한통의 전화로도 순간 걸려드는 보이싱피싱의 위험성을 알린 바 있습니다. 피싱(phishing)은 사용자를 착각하게 만들어 개인정보를 빼내려는 사기성 송신행위로 피싱메일(phishing+e-mail)과 더불어 스미싱(SMS+phishing, 문자피싱), 보이스피싱(voice+phishing)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당하지 않으려면... 모르는 메일이나 .. 2023. 1. 8. 2023년 직종별 공무원 봉급표(10년간 보수인상률 포함) 2023년 공무원의 보수체계가 많이 궁금하시죠? 누구나 되고 싶어하는 공무원 이분들의 보수체계는 어떻게 되고 얼마나 받는지 딱 기본적인 봉급표를 통해 알아봅니다.참고로 공무원의 보수는 2022년대비 1.7% 인상에 그쳤다고 합니다. 참고로 지난 10년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4-2023 공무원 보수 인상률 (2023년) 1.7% ← (2022년) 1.4% ← (2021년) 0.9% ← (2020년) 2.8% ← (2019년) 1.8% ← (2018년) % ← (2017년) 3.5% ← (2016년) 3.0% ← (2015년) 3.8% ← (2014년) 1.7% 공무원의 보수체계 보수란 봉급과 그 밖의 각종 수당을 포함한 개념이다. 봉급은 직무의 곤란성과 책임의 정도에 따라 직책별로.. 2023. 1. 7. 말의 차이_극_과_극 24) 돌과 돐의 차이 돌 VS 돐 * 돌 : 1.아기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맞는 생일. 2.어떤 일을 처음 한 날 이후로 해마다 돌아오는 그날의 횟수를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 3.어린아이의 생일이 돌아오는 횟수를 햇수로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 예) 1. 우리 아기가 첫돌이 되었습니다. * 돐 : '돌'의 비표준어 (참고) 과거에는 돐, 돐잔치라 사용했으나 "표준어규정" 제6항 "유사한 형태가 의미를 구별함이 없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 중 한 가지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는 규정에 따라 "돌" 만을 표준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 6. (유머) 배꼽 빠지는 베스트 최신 유머 모음 ▶ 억울합니다 어떤 남자가 자동차를 훔친 혐의로 경찰서에 잡혀왔다. 경찰이 그의 범죄 사실을 추궁했다. “당신 뭐 땜에 남의 차를 훔친 거지?” 그러자 남자는 억울하다는 듯 신경질적으로 대답했다. “난, 훔친 게 아닙니다. 묘지 앞에 세워져 있기에 임자가 죽은 줄 알았다고요!” ▶ 이상한 일 한 어머니가 아들에게 성냥을 사오도록 심부름을 시켰다. 그런데 아들이 사온 성냥은 한 개비도 불이 켜지지 않는 것이었다. 그것을 본 아들이 고개를 갸우뚱하며 말했다. "그것 참 이상하군. 내가 한번씩 시험해서 모두 불이 켜지는 걸 확인했는데!" ▶ 재치있는 복수 재치있는 남자가 새벽 4시에 전화소리 때문에 잠이 깼다. "당신네 개가 짖는 소리 때문에 한잠도 못 자겠소" 재치있는 남자는 전화해줘서 고맙다고 인사한 후 .. 2023. 1. 5. 10대, 20대에 밀리지 않는 신조어 익히기(총 129종 추가) 신조어란 무엇일까? 신조어(新造語)는 새로 만든 낱말을 뜻함 신조어는 왜 생격나고 있을까요? 최근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 발달로 짧고 간결한 소통이 필요함에 따라 줄임말, 약어 등의 신조어 수가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TV에서 또는 누군가 주변에서 얘기하고 있는데 알아들을 수 없는 말때문에 무슨말이지? 외계어인가? 라고 생각하신적은 없으세요? 시대에 밀리지 않기 위해 꼰대가 되지 않기 위해 알아두면 좋을 신조어들... 잠시만 집중해주세요 용건만 간단히...의미만 간단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제부턴 주변에서 핵인싸 되시는건 시간문제입니다.^^ 과연 몇개나 알고 계세요? * 글자수별, 의미별, 가나다순으로 최대한 정리해봤습니다. (중복이 있을 수 있으며, 없는 내용은 댓글 달아주시면 계속 추가보완 하겠습.. 2023. 1. 4. 말의 차이_극_과_극 23) 이별과 송별의 차이 이별 VS 송별 * 이별(離別) : 1. 사귐이나 맺은 관계를 끊고 따로 갈라섬. 2. 상대로 사귐이나 맺은 관계를 끊고 따로 갈라서다 예) 이별은 짧았지만 추억이 길게 남았다. * 송별(送別 ) : 떠나는 사람을 이별하여 보냄 예) 오래 함께 했던 직원의 퇴직을 아쉬워하며 송별식을 했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 3.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19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