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훈민정음97

말의 차이_극_과_극 43) 지향과 지양의 차이 지향 VS 지양 * 지향(志向) : 어떤 목표에 뜻이 향함. 또는 그 향하는 의지. 예) 회사의 발전을 위해 수익을 창출하는 목표 지향적 사업을 추진해야 합니다. * 지양(止揚) : 그치거나 멈추다. 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하여 어떠한 것을 하지 아니함. 예) 서로의 발전을 위해 사소한 싸움은 지양하고 서로 화합합시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4.
말의 차이_극_과_극 42) 오손도손과 오순도순의 차이 오손도손 VS 오순도순 * 오순도순 : 의좋게 서로 이야기하거나 지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우리 가족모두 오순도순 즐겁게 살아가는게 행복이야 * 오손도손 : '오손도손'과 유사어 ‘오손도손’은 본래 ‘오순도순’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오순도순’과 어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1.
말의 차이_극_과_극 41) 바동바동과 바둥바둥의 차이 바동바동 VS 바둥바둥 * 바동바동 : 1.덩치가 작은 것이 매달리거나 눕거나 주저앉아서 팔다리를 뒤흔들며 몸을 자꾸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2.어려운 처지에서 벗어나려고 악착스럽게 애를 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1. 고양이가 나무에서 떨어지지 않으려 바동바동하고 있다. 2. 우리 옆집은 바동바동 하면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이 보기 좋더라구 * 바둥바둥 : '바동바동' 과 동의어 ‘바둥바둥’은 본래 ‘바동바동’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바동바동’과 어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26.
말의 차이_극_과_극 40) 아옹다옹과 아웅다웅의 차이 아옹다옹 VS 아웅다웅 * 아옹다옹 : 작고 하찮은 일로 서로 시비하여 다투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우리 애들은 맨날 아웅다옹 하지만 의리가 있어서 좋아 * 아웅다웅 : '아옹다옹' 과 동의어 ‘아웅다웅’은 본래 ‘아옹다옹’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아옹다옹’과 어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23.
말의 차이_극_과_극 38) 복사뼈와 복숭아뼈의 차이 복사뼈 VS 복숭아뼈 * 복사뼈 : 발 회목 위에 안팎으로 둥글고 도도록하게 튀어나온 뼈 예) 그는 직장인 축구대회에서 복사뼈에 금이 가는 부상을 입었다. * 복숭아뼈 : 복사뼈와 동의어 ‘복숭아뼈’는 본래 ‘복사뼈’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복사뼈’와 동일한 뜻으로 널리 쓰이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17.
말의 차이_극_과_극 37) 태껸과 택견의 차이 태껸 VS 택견 * 태껸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무예의 한 가지. 발로 품자(品字)를 밟으면서 몸을 유연하게 움직이며 팔을 상하좌우로 흔들고 앉았다 일어섰다 하며 상대방을 공격하는 무술이다. 예) 이번 행사에서 한국전통의 태껸 시범행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1983년 6월 1일 중요 무형 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택견 : (태껸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 예) 세계 무술인대회에 택견 고수가 한국대표로 출전합니다. ‘택견’은 본래 ‘태껸’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태껸’과 동일한 뜻으로 널리 쓰이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2023. 2. 14.
말의 차이_극_과_극 36) 굽실과 굽신의 차이 굽실 VS 굽신 * 굽실 : 1. 고개나 허리를 깊숙이 구부리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2. 남의 비위를 맞추느라고 비굴하게 행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김대리는 윗사람 앞에서만 굽실거린다. * 굽신 : '굽신'과 동의어 ‘굽신’은 본래 ‘굽실’의 비표준어였으나 2014년 12월 국립국어원에서 ‘굽실’과 동일한 뜻으로 널리 쓰이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11.
말의 차이_극_과_극 35) 냄새와 내음의 차이 냄새 VS 내음 * 냄새 :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 예) 음식물 쓰레기에서 안좋은 냄새가 난다. * 내음 : 코로 맡을 수 있는 향기로운 기운. 예) 당신에게선 꽃내음이 나네요.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8.
말의 차이_극_과_극 31) 소고기와 쇠고기의 차이 소고기 VS 쇠고기 * 소고기 : 음식으로 먹는 소의 고기 예) 오늘은 우리가족 소고기 먹는날입니다. - 소고기는 영어로는 beef, 한자로는 우육(牛肉) 이라고 부릅니다. * 쇠고기 : 식용으로 하는 소의 고기 예) 역시 고깃국은 쇠고기국이 최고야 ※ 과거에는 쇠고기만을 표준어로 삼았지만 1988년 국립국어원에서 소고기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는 맞춤법이 개정되면서 그 이후는 모두 표준어로 허용됩니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 27.
말의 차이_극_과_극 29) 원수와 웬수의 차이 원수 VS 웬수 * 원수(怨讐) : 원한이 맺힐 정도로 자기에게 해를 끼친 사람이나 집단. 예) 나의 철천지 원수를 가만두지 않겠어. * 웬수 : ‘원수’ 의 방언(경기, 경상, 전라). 예) 웬수야, 술 좀 그만 먹고 돈 좀 벌어와.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 21.
말의 차이_극_과_극 28) 참석과 참가와 참여의 차이 참석 VS 참가 VS 참여 * 참석(參席) : 모임이나 자리에 참여함(단순 출석의 의미를 가짐) 예) 오늘 온라인 수업은 모두 참석바랍니다. * 참가(參加) : 사람이 어떠한 모임이나 단체에 관계하여 들어감.(단순출석이 아닌 참여의 전단계수준) 예) 오늘 모임은 가입과 함께 참가에 의미를 둡니다. * 참여(參與) : 참가하여 관여하다.(일에 개입하는 단계임) 예) 오늘 자문회의에 적극 참여를 당부드립니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 18.
우리말의 올바른 기준을 담은 <표준어 규정> 의 이해와 활용 우리말에는 다양한 의미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말뜻이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취지에 있었는지는 몰라도 상당부분 헷갈리는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말의차이 극과극" 시리즈를 3일에 한번꼴로 안내하면서 이런 표준화된 내용이 있지 않을까? 해서 국어사전이 아닌 다른 자료를 찾아보니 "표준어 규정" 이란것이 검색되었지요! 1988년 문교부(지금의 교육부)에서 제정하고 현재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부처로 운영관리하는 규정이었습니다. 인터넷 어디에도 명확한 자료가 없는것 같아 오늘은 이 규정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동 규정 제1장(총칙), 제1항에는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정의되어 있으며, 제2항에는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고 명시되어 있는.. 2023.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