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75

한식의 맛을 찾아서~ 대동한식맛지도(5편)_차례음식편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는 대국민 참여프로젝트 건강한食원정대 3기를 운영했습니다. 2012-2013년에 원정대 1기, 2013-2014년에 원정대 2기, 2014-2015년에 원정대 3기를 지속적으로 운영했었습니다. 이를 통해 선정된 전국의 다양한 맛을 발굴하게 되었고 이때 '대동한식맛지도'라는 것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대동여지도' 가 있었다면 현대의 한식문화에는 '대동한식맛지도'가 있습니다. 한식, 얼마나 즐기세요? 맛지도는 '비빔밥편', '국수 편', '김치 편', '떡편', '차례음식 편', '궁증음식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대동한식맛지도 다섯번째 '차례음식 편'입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명절, 설과 추석 명절이 되면 각지의 흩어져 있던 가족, 친지들이 오랜만에 함께 .. 2023. 5. 2.
한식의 맛을 찾아서~ 대동한식맛지도(4편)_떡편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는 대국민 참여프로젝트 건강한食원정대 3기를 운영했습니다. 2012-2013년에 원정대 1기, 2013-2014년에 원정대 2기, 2014-2015년에 원정대 3기를 지속적으로 운영했었습니다. 이를 통해 선정된 전국의 다양한 맛을 발굴하게 되었고 이때 '대동한식맛지도'라는 것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대동여지도' 가 있었다면 현대의 한식문화에는 '대동한식맛지도'가 있습니다. 한식, 얼마나 즐기세요? 맛지도는 '비빔밥편', '국수 편', '김치 편', '떡편', '차례음식 편', '궁증음식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대동한식맛지도 네번째 '떡편'입니다. 떡이란?(출처 : 국어사전) 곡식 가루를 찌거나, 그 찐 것을 치거나 빚어서 만든 음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 2023. 5. 1.
말의 차이_극_과_극 62) 재야와 제야의 차이 재야 제야 * 재야(在野) : 야당의 입장에 있거나 제도권 정당에 속하지 않은 세력 예) 정부 개각에서 재야의 유능한 인물을 두루 기용하고자 합니다. * 제야(除夜) : 섣달의 그믐밤 예) 매년 1월 1일 제야의 종 타종식이 있습니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4. 30.
근로자의날 의미와 개요, 휴무일의 범위 근로자의날 의미와 개요, 휴무일의 범위 매년 5월 1일, 근로자의 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근로자의 날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고 그날 휴무인곳과 정상근무를 하는곳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햇동안 수고하신 모든 근로자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과 함께 응원의 박수를 보냅니다. 오늘도, 내일도 힘차게 보내세요. ■ 근로자의날이란?(勤勞者의날)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정한 날. 매년 5월 1일이다. 노동절(勞動節, Labor Day 또는 Workers’ Day) 이라고도 부른다. 유사한 용어로 메이데이(mayday)가 있는데 이는 전 세계의 노동자들이 스스로의 단결과 권익 쟁취를 기념하는 날로 매년 5월 1일이다. ■ 법적근거 1973년 3월 30일, '근로자의날제정.. 2023. 4. 29.
한식의 맛을 찾아서~ 대동한식맛지도(3편)_김치편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는 대국민 참여프로젝트 건강한食원정대 3기를 운영했습니다. 2012-2013년에 원정대 1기, 2013-2014년에 원정대 2기, 2014-2015년에 원정대 3기를 지속적으로 운영했었습니다. 이를 통해 선정된 전국의 다양한 맛을 발굴하게 되었고 이때 '대동한식맛지도' 라는것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대동여지도' 가 있었다면 현대의 한식문화에는 '대동한식맛지도' 가 있습니다. 한식, 얼마나 즐기세요? 맛지도는 '비빔밥편', '국수편', '김치편', '떡편', '차례음식편', '궁증음식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대동한식맛지도 세번째 '김치편' 입니다. 김치란?(출처 : 국어사전) 배추나 무 따위를 소금에 절였다가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따위의 여러 가지 .. 2023. 4. 28.
말의 차이_극_과_극 61) 길이길이와 기리기리의 차이 길이길이 기리기리 * 길이길이 : 아주 오래도록 예) 우리 가족을 위한 은혜는 길이길이 잊지 않을겁니다. * 기리기리 : (단어가 존재하지 않으며 길이길이 의미로 사용시 잘못된 표현임)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4. 27.
한식의 맛을 찾아서~ 대동한식맛지도(2편)_국수편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는 대국민 참여프로젝트 건강한食원정대 3기를 운영했습니다. 2012-2013년에 원정대 1기, 2013-2014년에 원정대 2기, 2014-2015년에 원정대 3기를 지속적으로 운영했었습니다. 이를 통해 선정된 전국의 다양한 맛을 발굴하게 되었고 이때 '대동한식맛지도'라는 것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대동여지도' 가 있었다면 현대의 한식문화에는 '대동한식맛지도'가 있습니다. 한식, 얼마나 즐기세요? 맛지도는 '비빔밥편', '국수 편', '김치 편', '떡편', '차례음식 편', '궁증음식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대동한식맛지도 두번째 '국수 편'입니다. 국수란?(출처 : 국어사전) 밀가루나 메밀가루를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가늘게 썰거나 국수틀로 가늘게 뺀 식.. 2023. 4. 26.
한식의 맛을 찾아서~ 대동한식맛지도(1편)_비빔밥편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는 대국민 참여프로젝트 건강한食원정대 3기를 운영했습니다. 2012-2013년에 원정대 1기, 2013-2014년에 원정대 2기, 2014-2015년에 원정대 3기를 지속적으로 운영했었습니다. 이를 통해 선정된 전국의 다양한 맛을 발굴하게 되었고 이때 '대동한식맛지도'라는 것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지금은 그나마도 찾기 어려운정보가 되었다는 아쉬움에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대동여지도' 가 있었다면 현대의 한식문화에는 '대동한식맛지도'가 있습니다. 한식, 얼마나 즐기세요? 맛지도는 '비빔밥편', '국수 편', '김치 편', '떡편', '차례음식 편', '궁증음식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 첫번째로 '비빔밥 편'을 준비했습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비빔밥이란? (출.. 2023. 4. 25.
말의 차이_극_과_극 60) 감쪽같다와 깜쪽같다의 차이 감쪽같다 VS 깜쪽같다 * 감쪽같다 : 꾸미거나 고친 것을 남이 알아채지 못할만큼 티가 나지 않다 예) 찢어진 옷을 감쪽같이 수선해주셨습니다. * 깜쪽같다 : '감쪽같다'의 비표준어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4. 24.
제주도 사투리 모음(2편)_사물편, 동물편, 식물편 사투리란? 표준어와는 다른, 어떤 지역이나 지방에서만 쓰이는 특유한 언어를 말합니다.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사투리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고 TV, 영화 등에서도 많이 들어봐서 느낌이 팍 옵니다. 그런데, 제주도 사투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것과는 차원이 다른듯 합니다. 지역주민 간 원어민(?) 대화를 들어보면 무슨 외계어 같거든요...그래서 몇마디라도 알아들을 수 있게 정리해봤으니 잘 읽어봐주세요. * 참고사항 : 제주도 사투리는 표준어가 아니기에 아래의 사투리 표기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2편에서는 사물이나 동물, 식물 등을 중심으로 준비했습니다. 느울엉, 나울엉, 몬울엉 = 너를 위하여, 나를 위하여, 모두를 위하여 (동물) 강생이 = 강아지 고냉이 = 고양이 송애기 = 송아지 몽생이 = 망아지 .. 2023. 4. 23.
제주도 사투리 모음(1편)_인사말, 인물, 생활용어, 감정 사투리란? 표준어와는 다른, 어떤 지역이나 지방에서만 쓰이는 특유한 언어를 말합니다.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사투리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고 TV, 영화 등에서도 많이 들어봐서 느낌이 팍 옵니다. 그런데, 제주도 사투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것과는 차원이 다른듯 합니다. 지역주민 간 원어민(?) 대화를 들어보면 무슨 외계어 같거든요...그래서 몇마디라도 알아들을 수 있게 정리해봤으니 잘 읽어봐주세요. * 참고사항 : 제주도 사투리는 표준어가 아니기에 아래의 사투리 표기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1편에서는 인사말, 인물에 대한 호칭, 생활용어, 감정표현 등을 중심으로 준비했습니다. 느울엉, 나울엉, 몬울엉 = 너를 위하여, 나를 위하여, 모두를 위하여 (인사말) 혼저옵서예 = 어서오세요 안녕허우꽈? = 안.. 2023. 4. 22.
말의 차이_극_과_극 59) 짜깁기와 짜집기의 차이 짜깁기 VS 짜집기 * 짜깁기 : 직물의 찢어진 데를 그 감의 올로 본디와 같이 흠집 없이 짜서 꿰매는 일 예) 옷이 뜯어진 곳은 짜깁기해서 입기도 했습니다. * 짜집기 : 짜깁기의 비표준어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