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77

개인정보 안전한 보호조치 3가지(관리적, 기술적, 물리적) 개인정보 + 보호 보이스피싱, 스미싱, 해킹 등 많은 좋지 않은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 이때, 개인정보의 안전한 보호조치가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입니다. 내 정보가 소중한다는건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도 안전한 보호조치가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개인은 나의 정보를 SNS 등을 통해 유출하지 않고 법에 근거가 없는 개인정보 제공은 최소화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기업들에서는 어떠한 조치를 해야할까요?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안전성 확보조치를 하라고 얘기합니다. 안전성을 확보하는 조치에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관리적 보호조치", "기술적 보호조치", "물리적 보호조치" 중요한 3가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관련법에서는 아래와 같이 명시하고 보호조치 의무화를 의.. 2023. 3. 5.
말의 차이_극_과_극 43) 지향과 지양의 차이 지향 VS 지양 * 지향(志向) : 어떤 목표에 뜻이 향함. 또는 그 향하는 의지. 예) 회사의 발전을 위해 수익을 창출하는 목표 지향적 사업을 추진해야 합니다. * 지양(止揚) : 그치거나 멈추다. 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하여 어떠한 것을 하지 아니함. 예) 서로의 발전을 위해 사소한 싸움은 지양하고 서로 화합합시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4.
독도를 쉽게 이해하는 '독도퀴즈'(2편) 60문제 #OX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영토 '독도' 독도를 이해하는데 여러 가지 자료들이 있지만 퀴즈로 풀어보면서 독도를 하나씩 알아간다면 너무 좋을 듯하여 준비했습니다. 이번에는 O, X 문제입니다. 지금 확인해 보세요!! 정답은 맨 밑에 있어요 1. 독도는 지리적, 역사적, 국제법적으로 대한민국의 고유영토이다. 2. 대한민국에서 가장 동쪽 끝에 있는 섬은 독도이다. 3. 독도에는 우편번호가 있다. 4. 독도가 속한 행정구역은 강원도다. 5. 독도는 한 때 행정구역상 경상남도에 속한 적도 있었다. 6. 독도는 국가가 지정한 천연 보호 구역이다. 7. 독도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은 동도이다. 8. 독도에는 물이 없다. 9. 독도의 기후는 울릉도와 비슷하다. 10. 독도박물관은 독도에 있다. 11. 독도에서 가장 가까운 .. 2023. 3. 3.
독도를 쉽게 이해하는 '독도퀴즈'(1편) #4지선다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영토 '독도' 독도를 이해하는데 여러 가지 자료들이 있지만 퀴즈로 풀어보면서 독도를 하나씩 알아간다면 너무 좋을 듯하여 준비했습니다. 지금 확인해보세요!! * 정답은 맨 밑에 있어요 ↙ * 1. 독도는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몇 호로 지정되어 있을까요? ① 3호 ② 36호 ③ 136호 ④ 336호 2. 독도는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몇 km 떨어져 있을까요? ① 67.4km ② 77.4km ③ 87.4km ④ 97.4km 3. 신라시대 지증왕 13년(512년)에 독도를 불렀던 명칭은? ① 우산국 ② 울릉도 ③ 간월도 ④ 석도 4. 독도를 영어로 표기하는 올바른 표기법은? ① Dokdo island ② Dokdo ③ Tokdo island ④ Tokdo 5. 독도는 동도와 서도라는 2개의 .. 2023. 3. 2.
말의 차이_극_과_극 42) 오손도손과 오순도순의 차이 오손도손 VS 오순도순 * 오순도순 : 의좋게 서로 이야기하거나 지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우리 가족모두 오순도순 즐겁게 살아가는게 행복이야 * 오손도손 : '오손도손'과 유사어 ‘오손도손’은 본래 ‘오순도순’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오순도순’과 어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1.
(마포맛집) 봉평옹심이메밀칼국수 #공덕맛집 강원도의 전통적인 맛이 서울에 정착한 듯합니다. 감자 옹심이가 막국수와 함께 어우러지는 즐거움 찐~하게 끓여지는 진국의 맛을 느끼는 이곳~ 바로 서울 마포구 공덕동에 위치한 '봉평옹심이메밀칼국수'입니다. 여름에는 막국수로 시원함을 주고 겨울에는 옹심이메밀칼국수(옹심이만 메뉴도 있어요)로 따뜻함을 주는 곳 (여름에는 비빔막국수 적극 추천^^) 잠시나마 이곳을 찾아가 보겠습니다.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평일 점심에는 조금만 늦으면 대기가 길어져 못 먹고 돌아가는데 가시게 되면 미리 카운터에서 번호표를 받고 메뉴를 주문해 놓으시면 됩니다. 이제 입장하셨다면 메뉴판이 보입니다. 하나같이 먹고 싶은 것들 뿐입니다. (예전보다 가격이 참 많이 올랐다는... T_T) 메뉴판 옆을 보면 감자옹심이의 효과와 제조방법이 설.. 2023. 2. 28.
명태의 다양한 이름들 #명태 #명칭 명태(明太, 대구목 대구과에 속하는 한류성 바닷물고기) 명태는 몸길이 30~90cm, 600~800g 무게로 성장하는 바닷물고기입니다. 명태’라는 이름의 기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이유권(1814~1888)이 쓴 ‘임하필기(林下筆記, 1871년)’에 나오는 내용으로 "함경도 명천(明川)에 사는 태(太) 씨 성을 가진 어부가 물고기를 잡았는데, 이름을 알 수 없어 명천의 '명'과 어부의 성인 '태'를 따서 '명태(明太)'라고 했다”는 설이 가장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그렇다면 다양한 이름을 가진 명태의 이름들을 알아볼까요? 생태 : 갓 잡아 싱싱한 상태의 명태​ 선태 : 갓 잡힌 명태 동태 : 꽁꽁 얼린 명태​ 간태 : 소금에 절인 명태 짝태 : 배를 갈라서 소금에 절여서 넓적.. 2023. 2. 27.
말의 차이_극_과_극 41) 바동바동과 바둥바둥의 차이 바동바동 VS 바둥바둥 * 바동바동 : 1.덩치가 작은 것이 매달리거나 눕거나 주저앉아서 팔다리를 뒤흔들며 몸을 자꾸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2.어려운 처지에서 벗어나려고 악착스럽게 애를 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1. 고양이가 나무에서 떨어지지 않으려 바동바동하고 있다. 2. 우리 옆집은 바동바동 하면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이 보기 좋더라구 * 바둥바둥 : '바동바동' 과 동의어 ‘바둥바둥’은 본래 ‘바동바동’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바동바동’과 어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26.
2023년 최저임금 안내문 및 전단지 잘 먹고 잘 사는 법은 어느 누구에게나 똑같은 마음이 아닐까 싶습니다.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는 잘 벌어야 할텐데... 올해의 최저임금은 얼마이고 나는 얼마 이상을 받아야 합법적일까? 2023년 최저임금 전단지 이미지와 더욱 자세한 안내문을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올 한해도 힘차게 쭉쭉~ 성정하고 뻗어나가는 한해가 되시길 응원합니다.!! 대한민국 잡학사전은 "깊이있게 배워가는곳이 아닌 다양하게 조금씩 알아가는 곳"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2. 25.
동물들의 새끼 이름(명칭) 우리가 아는 수 많은 동물들 귀엽고 예뻐서 애완견, 애완묘 등으로 많이들 함께 하시죠? 특히, 새끼들은 왜이리 하나같이 이쁘고 귀여운지...^^(웃음이 절로) 그런데 각 동물들의 새끼는 저마다의 이름이 있는것 알고 계세요? 오늘은 동물들의 새끼 이름(명칭)을 가볍게 알아봅니다. (육지동물) 소의 새끼 - 송아지 개의 새끼 - 강아지 말의 새끼 - 망아지 닭의 새끼 - 병아리 꿩의 새끼 - 꺼병이 곰의 새끼 - 능소니 매의 새끼 - 초고리 모기 새끼 - 장구벌레 범(호랑이)의 새끼 - 개호주 (바다동물) -민물포함 갈치 새끼 - 풀치 민어 새끼 - 암치 청어 새끼 - 솔치 명태 새끼 - 노가리 멸치 새끼 - 잔사리 조기 새끼 - 꽝다리 농어 새끼 - 껄떼기 숭어 새끼 - 모쟁이 방어 새끼 - 마래미 잉어 .. 2023. 2. 24.
말의 차이_극_과_극 40) 아옹다옹과 아웅다웅의 차이 아옹다옹 VS 아웅다웅 * 아옹다옹 : 작고 하찮은 일로 서로 시비하여 다투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우리 애들은 맨날 아웅다옹 하지만 의리가 있어서 좋아 * 아웅다웅 : '아옹다옹' 과 동의어 ‘아웅다웅’은 본래 ‘아옹다옹’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아옹다옹’과 어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23.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제15대 박선원 회장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제15대 회장 박선원 (성명) 박 선 원 (생년월일) 1954년 3월 26일 (임기) 2023년 3월 1일 ~ 2026년 2월 28일(3년) (주요학력) 1981 동인천고등학교 졸업 1989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2020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정책협동과정(박사) 졸업 (주요경력) 1993년 ∼ 2007년 ㈜삼정 관리이사 2003년 ∼ 2009년 ㈜선두기업 대표이사 2008년 ∼ 현재 사회복지법인 미선 이사장 2008년 ∼ 현재 재단법인 미선장학회 이사장 2019년 ∼ 현재 한국행동분석학회 이사 2020년 ∼ 2021년 재단법인 인천복지재단 연구심의위원 2020년 ∼ 현재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부회장 2021년 ∼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겸임교수 2022년 ∼ 현.. 2023. 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