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도는한국땅598

(인물) 한국사회복지공제회 김용하 이사장 [기관소개 : 한국사회복지공제회]"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류"에 의거, 사회복지인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을 위해 2011년 설립된 법정 단체(성명) 김 용 하 (Yong Ha Kim)(출생년도) 1961년(임기) 2025년 2월 6일 ~ 2028년 2월 5일(3년)(주요학력)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성균관대학교 경제학 학사(주요경력)순천향대학교 글로벌경영대학 IT금융경영학과 교수순천향대학교 부총장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원회 공동위원장한국사회보장학회 회장한국경제연구학회 회장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한국연금학회 회장한국재정정책학회 회장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장 2025. 2. 20.
말의 차이_극_과_극 127) 폭발과 폭팔의 차이 폭발VS폭팔* 폭발(爆發): 불이나 강력한 바람 따위가 일어나며 갑작스럽게 터짐 예) 활화산은 폭발의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다.* 폭팔 : ‘폭발’의 방언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4. 5. 4.
말의 차이_극_과_극 123) 난센스와 넌센스의 차이 난센스 VS 넌센스 * 난센스 : 터무니없고 어리석은 말이나 생각 예) 세차한 다음날에는 꼭 비가오는건 난센스다. * 영어로는 nonsense이나 한국말로 발음할때는 난센스가 표준이라고 합니다. * 넌센스 : '난센스'의 비표준어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4. 3. 7.
한국홍보송 반크응원가, 3.1절 맞아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음원 출시 삼일절을 맞아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독도에 대한 의미를 세계에 알리는 음원과 한국인 한명 한명이 한국홍보 대사로 활동할수 있는 음원을 출시했다. 1919년 3월 1일, 무려 200만명이 넘는 한국인들이 한국과 세계 곳곳에서 독립운동가가 되어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다. 당시 전체 한국인 2000만명 중 10%에 달하는 200만 명이 참여해 한국 역사를 변화시켰으며, 이는 세계사적으로도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는 사건이었다. 105년전 3.1운동처럼 한국인 모두가 글로벌 한국 홍보대사가 되어보는건 어떨까요? SNS에서 한국에서 외국에서 한국을 알리는 반크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독도는 한국땅! https://www.youtube.com/watch?v=Hi3eYtIsOSY 반크응원가, 한국홍보송 (1절).. 2024. 3. 4.
말의 차이_극_과_극 122) 맞히다와 맞추다의 차이 맞히다 VS 맞추다 * 맞히다 : 1.옳게 답을 하다 2.겨냥한 지점에 들어맞게 하다 예) 오늘 수업시간에 문제를 맞힌 사람은 나뿐이다. * 맞추다 : 1.'맞히다'의 비표준어 2.가지런히 하여 어긋남이 없게 하다 예) 찌개 간이 싱거울땐 소금으로 맞추면 된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4. 2. 29.
말의 차이_극_과_극 113) 목표와 목적의 차이 목표 VS 목적 * 목표(目標) : 조준, 사격, 공격 따위에서 눈으로 목적 삼은 곳을 정한 표 예) 내 인생의 목표는 간호사입니다. * 목적(目的) : 이루려고 하는 일이나 방향 예) 현재 교육실정에서는 공교육만으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1. 30.
말의 차이_극_과_극 112) 채소와 야채의 차이 채소 VS 야채 * 채소(菜蔬) : 식용으로 재배하는 풀 예) 외할머니 텃밭에는 상추, 배추 등 채소가 많이 있다. * 야채(野菜) : 밭에 심어서 가꾸어 먹는 당근, 무, 배추, 파 따위의 온갖 나물 예) 고기를 먹을땐 야채를 많이 먹어야 좋다더라.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11. 23.
독도를 상징하는 독도우표의 종류들 #독도우표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영토이자 한번쯤은 꼭 가보고 싶은 곳, 독도 우리 땅 독도에 대한 관심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차에 독도에 대한 굿즈는 뭐가 있나 생각해보니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것이 우표(?)가 아닌가 싶어 종류를 찾아봤습니다. 물론 굿즈중에는 티셔츠, 문구류, 강치인형, 소주잔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지금도 우표는 꾸준히 발행되고 있는데 여기에 독도를 상징하는 우표는 뭐가 있난 찾아보니 이렇게 여러 종류가 있었네요. (물론 나만의 우표를 통해 추가 제작한 것들도 있겠지만 비공식이라 언급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위키백과를 보니 이런 정보가 있네요. 독도우표(獨島郵票)는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발행되는 우표이다. 독도를 테마로 하여 정보통신부 주도로 1.. 2023. 9. 2.
독도 관련 정확한 표기법(로마자, 영문 등)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독도' 영토에 대한 자부심이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독도에 대해 잘못 표기하거나 잘못 알리게 되어 오해를 낳게 된다면 어떨까요? 이런것들을 예방하기 위해 독도에 대한 정확한 표기법을 안내하는 지침이 있습니다. 오래전에 제정되어 있었는데 사실 제대로 알지 못하고 무의식적으로 독도만을 외치고 있었던것 같습니다. 이제부터는 보다 명확한 표기를 통해 우리땅 '독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할 듯 합니다. 널리 알려주세요! (동북아의평화를위한바른역사정립기획단고시제2005-3호 발췌) 출처 : 독도종합정보시스템(해양수산부 운영) 2023. 8. 17.
광복절의 역사와 의미, 815 대한독립만세 2023년 8월 15일은 제78주년 광복절입니다. 광복절은 말 그대로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또한, 광복절은 우리나라 5대 국경일 중 하나인데 국경일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법으로 정해둔 날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법에서 국경일은 삼일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의 다섯 개로 정하고 있습니다. '공휴일에 관한 법률'에 따라 광복절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광복절(光復節)이란? º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해방)되어 나라와 주권을 다시 찾을 날을 기념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 ■ .. 2023. 8. 15.
(독도알기) 다목적 독도전용 연구선 '독도누리호' 달려라! 우리가 알고 있는 배(선박)의 종류는 참으로 다양합니다. 용도별로는 군함, 상선, 어선, 특수선 법규상으로는 한국선, 외국선, 등록선, 부등록선, 공선, 사유선, 내항선, 외항선, 여객선, 비여객선, 국내항로선, 국제항로선 운항방식으로는 정기선, 부정기선, 명령항로선, 자유항로선, 자영선 등등.... 이렇게 많은 배의 종류중에서 혹시 연구선이라고 들어보셨어요? 해양에 관한 다양한 조사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필요한 설비를 갖춘 선박으로 조사선, 연구선으로 불립니다. 우리나라에는 아라온(Research Vessel Araon, RV Araon)이 대한민국 최초의 연구용 아이스브레이커(쇄빙선)로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영토인 독도를 연구하는데에도 연구선이.. 2023. 8. 8.
독도 일반 현황(위치, 면적, 주민, 경비대, 입도방법 등) 대한민국 영토 "독도" 우리가 알고 독도에 대한 지식은 어느정도일까요? 관심이 있는분이라면 상당한 부분을 알고 계실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일거예요. 그런데 누군가가 독도에 대해 물어온다면? 혹시나 일본에 갈일이 있어 누군가에게 독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면? 이럴때를 대비해서 기본적인 지식을 알아두시면 어떨까요? 독도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과 지식 지금 확인해보세요! □ 주소 및 위치 동도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55 (독도경비대)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63 (독도등대) 위치 북위 : 37도 14분 26.8초, 동경 : 131도 52분 10.4초 서도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안용복길 3 (주민숙소) 위치 북위 : 37도 14분 30.6초, 동경.. 2023.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