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사전32

말의 차이_극_과_극 50) 보상과 배상의 차이 보상 VS 배상 * 보상(補償) : 국가 또는 공공 단체가 적법한 행위에 의하여 국민이나 주민에게 가한 재산상의 손해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대가 예) 우리 동네 택지 개발에 대한 보상으로 다른 토지를 대신 받았습니다. * 배상(賠償) : 남의 권리를 침해한 사람이 그 손해를 물어 줌 예) 교통사고로 다친 손해에 대해 배상 문제를 협의해야 합니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25.
말의 차이_극_과_극 49) 낫다와 낮다의 차이 낫다 VS 낮다 * 낫다 : 질이나 수준 등의 정도에서 더 좋거나 앞서 있다 예) 우리나라 제품이 외국에 비해 더 낫다고 생각해 * 낮다 : 일정한 기준이나 보통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 예) 물의 끓는점은 100도이므로 이보다 낮다면 물을 끓일 수가 없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22.
말의 차이_극_과_극 48) 천엽과 처녑의 차이 천엽 VS 처녑 * 천엽(千葉) : 소나 양 따위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의 세 번째 위. 얇은 주름으로 되어 있다. 예) 소곱창을 먹으러 가니 서비스로 천엽 한접시를 내어 주셨다. * 처녑 : '천엽' 과 유의어(비슷한 의미) 예) 소처럼 반추동물의 세번째 위를 처녑이라고 한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19.
말의 차이_극_과_극 47) 이파리와 잎파리의 차이 이파리 VS 잎파리 * 이파리 : 살아 있는 나무나 풀에 달린 하나하나의 잎 예) 봄이 되면 초록의 풍성한 이파리가 나와 따스함을 전합니다. * 잎파리 : '이파리'의 비표준어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16.
말의 차이_극_과_극 46) 묏자리와 묫자리 차이 묏자리 VS 묫자리 * 묏자리 : 사람의 무덤을 쓸 만한 자리 예) 조상의 묏자리를 잘 써야 후손들이 번창한다. * 묫자리 : '묏자리'와 유사어 ‘묫자리’는 본래 ‘묏자리’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묏자리’와 동일한 뜻으로 널리 쓰이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13.
말의 차이_극_과_극 45) 잊다와 잇다의 차이 잊다 VS 잇다 * 잊다 :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해 내지 못하다 예)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잊지 말고 기억해 * 잇다 : 1.끊어지지 않고 계속되게 하다. 2.끝을 맞대어 붙여 하나로 만들다. 3.바로 다음에 잇대다 예) 1. 너는 내 뒤를 이어 가업을 유지해야 한다. 2. 이 줄을 하나로 이어서 만들어보자 3. 이 프로그램에 이어 뉴스가 방송됩니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10.
말의 차이_극_과_극 44) 별안간과 벼란간의 차이 별안간 VS 벼란간 * 별안간(瞥眼間) : 아주 짧은 동안에 갑작스럽게 예) 구름한점 없던 하늘에서 별안간 비가 장대비가 내렸다. * 벼란간(벼란間) : 별안간의 비표준어. 규범적 표기는 '별안간' 이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7.
말의 차이_극_과_극 43) 지향과 지양의 차이 지향 VS 지양 * 지향(志向) : 어떤 목표에 뜻이 향함. 또는 그 향하는 의지. 예) 회사의 발전을 위해 수익을 창출하는 목표 지향적 사업을 추진해야 합니다. * 지양(止揚) : 그치거나 멈추다. 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하여 어떠한 것을 하지 아니함. 예) 서로의 발전을 위해 사소한 싸움은 지양하고 서로 화합합시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3. 4.
말의 차이_극_과_극 41) 바동바동과 바둥바둥의 차이 바동바동 VS 바둥바둥 * 바동바동 : 1.덩치가 작은 것이 매달리거나 눕거나 주저앉아서 팔다리를 뒤흔들며 몸을 자꾸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2.어려운 처지에서 벗어나려고 악착스럽게 애를 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1. 고양이가 나무에서 떨어지지 않으려 바동바동하고 있다. 2. 우리 옆집은 바동바동 하면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이 보기 좋더라구 * 바둥바둥 : '바동바동' 과 동의어 ‘바둥바둥’은 본래 ‘바동바동’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바동바동’과 어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26.
말의 차이_극_과_극 40) 아옹다옹과 아웅다웅의 차이 아옹다옹 VS 아웅다웅 * 아옹다옹 : 작고 하찮은 일로 서로 시비하여 다투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 우리 애들은 맨날 아웅다옹 하지만 의리가 있어서 좋아 * 아웅다웅 : '아옹다옹' 과 동의어 ‘아웅다웅’은 본래 ‘아옹다옹’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아옹다옹’과 어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23.
말의 차이_극_과_극 38) 복사뼈와 복숭아뼈의 차이 복사뼈 VS 복숭아뼈 * 복사뼈 : 발 회목 위에 안팎으로 둥글고 도도록하게 튀어나온 뼈 예) 그는 직장인 축구대회에서 복사뼈에 금이 가는 부상을 입었다. * 복숭아뼈 : 복사뼈와 동의어 ‘복숭아뼈’는 본래 ‘복사뼈’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복사뼈’와 동일한 뜻으로 널리 쓰이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주시면 힘이 됩니다. 2023. 2. 17.
말의 차이_극_과_극 37) 태껸과 택견의 차이 태껸 VS 택견 * 태껸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무예의 한 가지. 발로 품자(品字)를 밟으면서 몸을 유연하게 움직이며 팔을 상하좌우로 흔들고 앉았다 일어섰다 하며 상대방을 공격하는 무술이다. 예) 이번 행사에서 한국전통의 태껸 시범행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1983년 6월 1일 중요 무형 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택견 : (태껸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 예) 세계 무술인대회에 택견 고수가 한국대표로 출전합니다. ‘택견’은 본래 ‘태껸’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8월 국립국어원에서 ‘태껸’과 동일한 뜻으로 널리 쓰이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 용어설명은 국어사전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 클릭해.. 2023.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