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A 늬우스

독도 일반 현황(위치, 면적, 주민, 경비대, 입도방법 등)

서울나그네 2023. 5. 19. 08:00

대한민국 영토 "독도"
우리가 알고 독도에 대한 지식은 어느정도일까요?

관심이 있는분이라면 상당한 부분을 알고 계실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일거예요.
그런데 누군가가 독도에 대해 물어온다면?

혹시나 일본에 갈일이 있어 누군가에게 독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면?

이럴때를 대비해서 기본적인 지식을 알아두시면 어떨까요?
독도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과 지식
지금 확인해보세요!

독도 전경

□ 주소 및 위치

동도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55 (독도경비대)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63 (독도등대)
위치 북위 : 371426.8, 동경 : 1315210.4
서도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안용복길 3 (주민숙소)
위치 북위 : 371430.6, 동경 : 1315154.6

울릉도 동남쪽 87.4km에 위치(일본 오키섬 북서쪽 157.5km)

 

<독도기점 주요지점 간의 거리>

주요지점 울릉도 동해 죽변 포항 부산 오키섬
거리(km) 87.4 243.8 216.8 258.3 348.4 157.5
독도의 위치

□ 면 적 : 총 187,554㎡

  ㅇ 동도 : 73,297㎡, 높이 98.6m, 둘레 2.8km
  ㅇ 서도 : 88,740㎡, 높이 168.5m, 둘레 2.6km
  ㅇ 기타 부속도서(89개) : 25,517㎡

독도의 높이와 면적

 

□ 주 민

  ㅇ 울릉도 주민인 故 최종덕씨가 1965년 3월 최초로 수산물 채취 등을 목적으로 독도에 거주하였으며, 2006년 2월 이후 현재까지 거주자는 김신열 씨임

서예가 김동욱씨(좌)와 독도주민 김신열씨(우)

□ 독도 근무자 : 약 27명 근무

  ㅇ 독도경비대(20명) : 경북지방경찰청 경찰관 20명(30일씩 순환근무)
  ㅇ 독도 등대관리원(3명) : 포항지방해양수산청 직원 3명 근무(30일 단위로 순환근무)
  ㅇ 행정관리 직원(2명) : 울릉군청 독도관리사무소 직원 2명 근무(10일 단위로 순환근무)
  ㅇ 119구조본부(2명) : 중앙119구조본부 직원 2명 근무(15일 단위로 순환근무)   * ‘21.5.15.부터 시행(독도현지119)

철통경비 독도경비대의 모습

□ 입도 제도

  ㅇ 1982.11.16.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독도를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하면서 공개제한지역으로 관리(입도허가제 운영),
  ㅇ 2005. 3.24. 기존 입도허가제를 “신고제”로 전환, 제한지역(동도, 서도) 중 동도에 한하여 일반인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한 해제
  ㅇ 2009. 6.23. 1일 입도제한인원(1,880명) 폐지(1일 무제한, 1회 470명)

독도선착장의 모습

□ 법적 지위

  ㅇ 「국유재산법」 제6조에 의한 ‘행정재산’(관리청 : 해양수산부)
      * 동도, 서도 및 89개 부속도서 101필지로 구성, 지목은 임야․대지․잡종지
  ㅇ 「문화재보호법」 제7조에 의한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천연보호구역’(’99.12.10. 문화재청고시 제1999-25호로 지정)
      * ’82.11.16.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해조류번식지’로 지정된 것을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천연보호구역’으로 명칭 변경
  ㅇ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자연환경보전지역’ (‘90.8.6. 건설부고시 제487호로 지정)
  ㅇ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4조에 의한 ‘특정도서’(‘00.9.5. 환경부 고시 제2000-109호로 지정)
  ㅇ 「자연공원법」 제36조의3에 의한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 (‘12.12.27. 환경부고시 제2012-249호로 지정)

 

출처 : 해양수산부(2022년 8월말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