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땅 독도에 '독도 강치' 라는 생물이 한때 3만마리 넘게 살았던것을 알고 계시나요?
너무 순하고 귀엽게 생긴 강치는 일제 초기였던 1900년대 초, 약 3만마리가 살고 있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그 수가 급감하다가 1940년대 227마리로 감소한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론 이후 공식적으로 멸종되어 지금은 그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당시, 독도 강치가 왜 멸종되었는지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자료가 발표되어 관심을 끌었는데요 해당내용을 알려드리오니 참고하시고 우리나라 해양생물에 보호에 대한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관련논문정보
(논문명) The First Population Simulation for the Zalophus Japonicus (Otariidae: Sea Lions) on Dokdo, Korea
(학술지) 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
(원문보기) https://www.mdpi.com/2077-1312/10/2/271 (다운로드 가능)
2022.02.28 해양수산부 보도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독도 옛 주인 ‘독도 강치’ 멸종 원인 과학적으로 입증
- ‘개체수 추정 모델링’을 통해 무분별한 남획이 멸종 원인으로 확인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독도 강치(Zalophus japonicus)가 남획에 의해 멸종되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이를 국제 학술지(SCI)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부산대학교 이상헌 교수팀은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환동해지역 해양포유류(기각류*) 서식실태 조사” 연구를 통해 독도 강치의 “적합 개체 수 추정 모델링**” 방식으로 과거 독도 강치의 개체 수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추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독도 강치의 멸종 원인이 무분별한 남획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 기각류 : 바다생활에 적응해 지느러미(지느러미 기, 鰭) 형태의 다리(다리 각, 脚)를 가진 해양동물로 바다사자, 듀공 등이 해당됨 ** 적합 개체수 추정 모델링 : 자연사망률, 출생률, 포획사망률 등 매개변수 및 모델방정식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개체수 변동을 알아보는 모델링 방법 |
연구팀은 독도 강치의 개체 수가 일본이 독도에서 포획 및 수렵을 시작한 1904년 이후 8년 만에 초기 개체 수(약 3만 마리)의 30% 이하인 8,500마리로 급감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연구팀은 이후에도 포획 및 수렵이 지속되어 1930년에는 790마리, 1940년에는 227마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후 강치는 1974년 일본 훗카이도에서 비공식적으로 관측된 것을 끝으로 더 이상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1994년 독도 강치의 멸종을 공식적으로 선언한 바 있다.
해양수산부는 2007년 독도 강치를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고, 강치를 포함한 기각류 6종을 대상으로 국내‧외 서식지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서식지 개선 등의 사업을 시행하는 등 우리 강치의 발자취를 찾기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총 88종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등 우리 해양생물이 독도 강치와 같은 멸종의 길을 밟지 않도록 종 보전전략을 마련하고 관련 연구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재영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동해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대표 해양생물이었던 독도 강치가 인간의 무분별한 포획으로 절멸되었다는 것은 해양보호생물의 보호 및 관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준다” 라며, “멸종된 독도 강치의 전례를 잊지 않고, 우리 바다에 서식하는 고래와 점박이 물범 등 해양생물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COREA 늬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도알기) 다목적 독도전용 연구선 '독도누리호' 달려라! (0) | 2023.08.08 |
---|---|
독도 일반 현황(위치, 면적, 주민, 경비대, 입도방법 등) (0) | 2023.05.19 |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보호생물 (0) | 2023.05.13 |
숫자로 보는 우리 땅, 독도의 비밀 (0) | 2023.05.11 |
노무현 독도 명연설, 한일관계 특별담화문 (0) | 2023.04.05 |
댓글